Surprise Me!

[현장연결] 정의용 "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실현"

2021-02-05 0 Dailymotion

[현장연결] 정의용 "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실현"<br /><br />국회 외교통상위원회가 오늘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합니다.<br /><br />오늘 청문회에서는 북한 원전 건설 추진 의혹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정 후보자의 허위 재산 신고와 장남에 대한 편법 증여 논란도 도마 위에 오를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현장으로 가보시죠.<br /><br />[정의용 / 외교부 장관 후보자]<br /><br />바쁘신 의정활동 중에도 이번 청문회가 열릴 수 있도록 애써주신 위원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공직 후보자로 지명되어 이 자리에 서게 된 것을 큰 영광으로 생각하며 막중한 책임감을 느낍니다.<br /><br />현재의 외교 환경이 매우 엄중하여 우리 외교의 역할이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위기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미 신행정부 출범은 국제 정세를 역동적으로 변모시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어 보다 선제적이고 전략적인 외교가 필요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외교부 장관의 소임을 맡게 된다면 국가를 위해 봉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우리나라가 처한 어려운 대외 환경을 슬기롭게 헤쳐나가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 번영을 실현하는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<br /><br />위원님들의 질의에 앞서 주요 외교 현안에 대한 생각을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실현하기 위한 외교입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께서 최근 NSC 전체회의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선택이 아니라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입니다.<br /><br />새로 출범한 미 행정부와 조율된 전략을 바탕으로 북미대화의 조기 재개를 통한 실질적인 비핵화 진전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외교력을 집중하겠습니다.<br /><br />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전쟁 불용, 상황 안전 보장, 공동 번영의 3대 원칙에 기반한 평화외교를 추진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우리 주도로 출범한 동북아 방역 보건 협력체에 대한 북한의 참여를 위한 견인 노력을 강화하겠습니다.<br /><br />동아시아 차원의 평화, 안보, 생명, 공동체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올해는 남북 UN 동시 가입 및 남북 기본합의서 채택 30주년을 맞는 의미 있는 해입니다.<br /><br />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되돌릴 수 없는 단계로 나아가는 진전된 성과를 거두고 깊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<br /><br />주변 4국과 전략적 외교를 통해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 안정을 공고히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바이든 행정부와 정상 및 고위급 교류를 조기에 추진하여 신뢰와 정책적 공감대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동맹 협력을 합리적 해결과 보건, 기후변화 등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한미 동맹을 더욱 공고히 하고 협력의 지평을 넓혀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노력들을 바탕으로 우리 외교안보 정책의 근간인 한미 동맹은 보다 건전하고 호혜적이며 포괄적인 동맹으로 발전시켜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우리의 최대 교역국이면서 한반도 평화 증진의 동반자인 중국과도 시진핑 주석의 방한 등 고위급 교류를 추진하고 전략적 소통 메커니즘의 재개를 통해 한중관계의 도약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겠습니다.<br /><br />특히 2021, 2022년 한중 문화교류의 해와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 발족 등을 통해 내년도 수교 30주년을 맞는 양국 관계가 전면 복원을 넘어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은 가까운 이웃이며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협력해야 할 파트너입니다.<br /><br />양국 간 여러 현안이 있습니다마는 외교적 대화와 소통을 통해 해결의 지혜를 모색하면서 건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환경이 재개될 수 있도록 가능한 노력을 경주하겠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양국 간 인적, 경제적 교류를 복원하고 환경, 보건 등 분야에서 협력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<br /><br />올해 푸틴 대통령의 방한 등 고위급 교류 계기 협력을 가속화하고 조선 분야 등 소위 9개 단위 중점 협력 분야에서 가시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<br /><br />둘째 선진국과 개도국을 잇는 가교국가로서 국제사회의 상생협력을 추진하는 중견국 외교를 추진하겠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악화되어온 다자협력을 복원하자는 국제사회의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책임 있는 중견국가로서 이러한 노력들에 적극 참여하고 새로운 협력의 틀을 세워나가는 데 기여할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WHO 등 글로벌 보건거버넌스에 참여하고 향후 보건의료에 대비하여 국제 보건협력기구가 제도화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백신의 국내 도입을 위한 범정부적 노력에 적극 동참하는 한편 백신의 공평한 국제적 배분에도 기여하겠습니다.<br /><br />2050탄소중립이라는 새로운 국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주요 국가의 포용적 기후협력을 강화하겠습니다.<br /><br />5월에 서울에서 개최될 P4G 정상회의를 통해 탄소중립을 향한 국제사회의 의지를 결집시키고 기후대응 선도국가로 나아갈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신남방정책 및 신북방정책을 통한 외교 다변화 노력도 계속 강화해 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한-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확인한 신남방정책+7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보건, 미래산업, 비전통안보 등 포괄적 상생 협력을 추진하겠습니다.<br /><br />아울러 신북방국가들과는 인프라, 보건, 혁신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FTA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으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고 국민 경제 회복을 견인하여 국민의 삶에 기여하는 외교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와 같이 전 세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으로부터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외교부의 재외국민 보호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또 체계화해 나가겠습니다.<br /><br />비대면 영사 서비스를 확대하고 디지털 혁신을 통해 국민 편익을 높이는 노력도 배가하겠습니다.<br /><br />재외동포기본법 제정 등을 통해 재외동포정책을 통합적이며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기업과 함께 빠르고 강한 경제 회복을 뒷받침하는 경제외교를 추진하겠습니다.<br /><br />기업인 신속 통로를 확대하고 다자화하는 노력을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아울러 재외공관의 기업 지원 역량을 강화하는...

Buy Now on CodeCanyon